
안녕하세요.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다보면 파일을 열었지만 편집이 불가한 경우가 생기는데요. 저도 이런 경험을 해봤기 때문에 얼마나 난감한지 알 수 있는데요. 편집이 필요하지 않을 때는 보기만 하고 넘어갈 수 있지만, 이와 달리 편집이 필요할 때는 굉장히 난감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글 프로그램이 편집이 안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그 이유는 바로 읽기전용으로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읽기전용 해제를 한다면 당연히 편집이 가능하게 됩니다.

한글 읽기전용 해제 방법
한글 파일을 실행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아마 파일명에 읽기전용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표시가 되어 있다면 읽기전용이기 때문에 편집을 할 수 없어요.

편집 탭을 클릭해보면 모든 부분이 비활성화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편집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이대로 끝나는 것은 아니니 포스팅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부터 한글 읽기전용 해제 방법 알려드릴게요.

한글 읽기전용 해제방법으로는 한글파일을 실행하지 마시고 파일을 닫아주세요. 그리고 파일이 있는 곳으로 가주세요. 위치를 찾으셨다면 파일에 마우스를 갖고 가셔서 우클릭을 해주세요. 그러면 오른쪽 창이 하나 뜨게 됩니다. 여기에서 맨 아래 속성을 눌러주세요.


속성을 클릭하고 나면 파일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특성에 읽기전용이 체크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요. 여기에서 체크를 해제해주시고 적용을 눌러주시면 된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한글 읽기전용 해제가 완료가 되었어요. 정말 쉬워서 따라하기만 하면 된답니다.
다시 파일을 열어 확인하니 편집이 안되었던 부분들이 모두 활성화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거에요.


그리고 내가 만든 한글 파일을 읽기전용으로 할 때는 반대로 해주시면 된답니다. 오른쪽 마우스 속성 들어가셔서 특성에 읽기전용을 체크해주시면 된답니다. 정말 쉬워요.


파일을 실행해서 살펴보면 편집이 비활성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파일이 읽기전용 파일로 바뀐것이랍니다.

생각보다 너무 쉬워서 놀라셨죠?! 이제 이런 방법을 알게 되었으니 한글 읽기전용 해제를 해서 편집하시면 된답니다. 그러면 이만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