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발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식품이나 유흥업 영업자 및 그 종업원은 관련 직종에서 일을 하려고 한다면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보건증인데요.
보건증 검사는 대한민국에서 식품과 관련이 있는 일을 하려고 한다면 예외없이 누구에게나 필수로 해야 하는 검사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보건증 검사와 이와 관련되어 있는 검사항목, 검사비용, 그리고 보건 발급방법 등에 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보건증 검사 비용과 방법
보건증을 발급 받으려면 먼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검사는 보건소나 병원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코로나 때문에 보건증을 검사하는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어서 미리 연락을 취한 뒤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증 검사는 신분증을 가지고 가면 바로 접수를 하고 검사를 할 수 있는데요. 아직 주민등록증이나 면허증이 없는 청소년이라고 한다면, 주민번호가 있는 학생증으로도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보건증 검사비용은 보건소가 병원보다 더 저렴합니다.
보건증 검사 비용 안내입니다. 보건소 3,000원, 일반 병원 15,000원~30,000원 입니다.
보건증 검사 항목
보건증 검사 항목은 전염성 피부질환, 폐결핵, 장티푸스 등 3가지인데요.
먼저 검사를 받기 전에 검사지 정보와 간단한 문진 항목을 체크한 다음에 직접 수령을 할 것인지 인터넷 발급으로 할 것인지 등도 미리 선택해볼 수 있는데요.
보건증은 다음 3가지 질환에 대한 검사를 통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에만 발급을 받아볼 수 있는데요. 3가지 검사를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0분 이내 입니다.
전염성 피부질환
한센병 등 세균성 피부질환을 지칭하고 특히 댕니을 상대로 하는 식품 관련한 곳에서 취업을 하는 경우에 전염이 될 수 있으므로 전염성 피부지로한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폐결핵
폐에서 발생하는 결핵 역시 검사를 진행하는데 결핵균도 사람에서 사람으로 공기를 통하여 전파가 되고 기침 이나 재채기를 할 때에 감염을 시킬 수도 있어서 결핵 여부 역시 검사 항목에 있습니다.
장티푸스
살모넬라 타이피균에 감염되는 병으로 조리 시 장티푸스 균이 묻어서 전염이 될 수도 있어서 필수로 해야하는 검사 항목입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은?
보건증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검사를 마친 후 4~7일 정도 후에 보건증을 발급 받아볼 수 있습니다. 보건증을 발급하는 방법이 몇가지 있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보건증 직접 방문 수령
보건증을 직접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던 보건소나 병원에서 바로 보건증 수령이 가능합니다.
보건증 대리 수령
보건증은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이 대리 수령을 해볼 수도 있어요. 다만, 대리 수령시에는 위임장, 검사자 본인 신분증, 대리인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해주셔야 하니 꼭 유의하세요.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보건증은 인터넷 발급도 가능한데요. 공공보건포털에 접속하여 직접 다운받아서 이용해볼 수도 있고 제출이 필요하다면 이메일로 전달해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건증 인터넷 발급은 보건소에서 검사를 진행했을 때만 가능하고 만약에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다면 반드시 검사받은 병원을 가서 방문수령을 하셔야 합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은 4~7일정도가 소요되니 미리 미리 수령해두는 것이 편하고 좋습니다. 또한, 유효기간이 1년이기 때문에 1년마다 새로 재검사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보건증 미 발급시에 과태료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영업자 적발시 1차 위반 20만원, 2차 위반 40만원, 3차 위반 60만원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또한, 종업원 적발시 1차 위반 10만원, 2차위반 20만원, 3차 위반 30만원 과태료 부과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보건증 인터넷발급 자세하게 알려드렸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이상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